한국 사진학회의 학술대회와 학회지를 통한 논문 및 작품의 발표나 게재는 본 학회의 회원에 한한다.
단, 학회 운영위원회에서 초청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원고의 내용 및 종류
사진에 대한 학술적 연구라는 본 학회의 목적에 부합하는 원고이어야 하며, 제출된 원고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고를 타 학술지에 게재할 수 없다. 원고의 종류는 논문과 작품으로 한다.
심사
투고된 모든 원고는 게재 적합성에 대하여 2인 이상의 해당 분야 전문가에게 심의를 요청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심사위원회는 저자에게 수정 및 보완 사항을 권고할 수 있다. 권고를 받은 저자는 반드시 수정본
을 제출해야 하며, 심사위원이 지적한 사항을 어떻게 처리하였는지를 기술한 편지를 동봉한다.
원고 제출
작품은 사진 원고와 소논문 형태의 원고를 함께 제출한다.
논문의 경우, 출력물 2 부와 파일을 저장한 디스켓을 제출한다.
게재비
최종 인쇄본 4 쪽을 기준으로 흑백사진, 컬러 사진, 논문 등 원고의 성격에 따라 차등을 둘 수 있다.
인쇄본 4 쪽 이상의 경우 추가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
사용 언어
01. 논문은 한글을 사용하여 한글 맞춤법에 준하여 작성한다.
02. 적절한 번역어가 없는 사진용어, 고유명사, 단위 등은 원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03. 번역어가 있으나 의미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용어가 최초로 등장할 때 번역어 다음
소괄호 내에 원어로 표기하고 그 후로는 번역어만 사용한다.
04. 약자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지만, 본문에 일정 용어가 반복됨으로 인해 부득이 약자가 필요한 경우에
는 그 용어가 처음 나올 때 괄호 안에 약자와 함께 표기하고 다음부터 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원고작성에 관한 저자 점검 사항
01. 순서
제목, 저자, 영문초록, 국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저자 정보 순으로 작성한다.
02. 초록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한다. 분량은 국문 600자, 영문 250 단어 이내로 한다.
03. 저자정보
모든 저자의 소속, 직위를 정확히 명기하고, 교신 저자(corresponding author)의 주소, 전화와 팩스 번호 및
E-mail 주소를 기록한다. 필요한 경우 연구비 수혜 사항을 기록한다.
04. 각주 및 참고문헌 표기
작성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저자-발행년도 방식(Author-Date System)’을 따른다.
1) 각주는 따로이 달지 않고 본문의 인용문 바로 옆에 소괄호를 이용하여 (저자, 발행년도: 쪽)의 형태로 기술한다.
(예) (Max Black, 1962 : 41)
2) 본문 중에 저자 이름이 들어간 경우 저자의 이름 옆에 소괄호로 문헌의 발행 연도와 쪽만을 표시한다.
3) 참고 문헌 목록의 작성은 내국인과 외국인 순으로, 첫 번째 저자의 이름을 가나다순과 알파벳순으로 한다.
참고문헌에 대한 정보는 저자, (출판년도), 서명, 출판사의 순으로 기술하고 서명을 굵은 서체로 한다.정기간
행물이나 학술지의 경우는 저자, (출판년도), 글제목, 간행물명, 권, 호, 쪽수의 순으로 한다.
(예) 김 한국 (2000). 사진. 나라출판.
Betz, N. E., & Fitgerald, L.F. (1993). Individuality and diversity: Theory and research in
photography. Annual Review of Photography, 44, 343-381.
05. 그림 및 표
그림이나 표를 제시해야 할 땐 본문 내용 중에 ‘표 x’, ‘그림 x’이라는 말이 있어야 한다. 그림 설명(caption)은 그림
아래에 왼쪽 끝에서부터 기재한다. 표 설명은 표의 위에 기재한다.
06. 사진
1) 사진 설명은 사진 아래쪽에 사진가, 제목, 제작방식, 소장처의 순으로 단다.
2) 필요에 따라 참고문헌 목록 다음에 인용 사진 목록을 작성한다. 국내 작가와 국외 작가의 순으로 성(姓)의
가나다와 알파벳에 따라 작성하고 인용 도판의 세부사항을 표기한다.
작품의 투고
10장 내외의 작품과 3000자 이상의 설명을 함께 제출한다. 작품설명은 서론, 본론, 결론의 형식을 갖추고 자의적 작품
해석을 되도록 배제한다. 초록을 비롯한 저자점검 사항은 논문 투고요령에 준한다.
국내 최대의 사진전문 포털사이트인 아이포스 웹진에서는 각 미디어와 화랑의 전시담당자, 프로사진가, 전국의 각 대학 사진학과 교수 및 전공자, 미술계와 광고 디자인계, 출판 편집인,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 인사, 국내 유수 기업의 최고경영자와 임원, 사진동호인 등 27만6,823명에게 사진문화에 관한 유익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